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12
기술특집 2011년 제12권 제4호 49 . 머리말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1987년 이스트만 코닥(Eastman Kodak)Ching W. Tang 등에 의해 처음 개발된 이후 비교적 짧은 역사 속에 빠르게 상용화 영역으로 발전해 왔다. 주로 디스플레이 용도로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백색 OLED를 응용하 OLED 조명 분야가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OLED효율, 수명 등의 향상된 성능을 기반으로 조명 분야로의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 절감형 조 명용 광원의 필요성에 따라서 OLEDLED(light emitting diode)와 더불어 유망한 조명용 차세대 광원으로 인식되 고 있다. [1] 특히, OLED는 성능만이 우수한 것이 아니라 미적 요소가 더해져 보는 즐거움이 있는 조명이라는 점에 서 그 가치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조명의 신기술 광 원으로 주목 받는 OLED는 백색 LED 광원과 흔히 비교 되곤 한다 . LED 광원은 매우 높은 휘도를 갖고 수명이 길며 외광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지만 발열이 심하여 커다 란 방열장치를 필요로 하며 눈이 부시고 확산광을 만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 또한 LED가 반도체 칩을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소형의 점광원이고 면광원화 하는데 있어 서 부가적인 부품과 공정이 필요하다 . 이에 반하여 OLED 조명은 패널 형태로 생산되므로 자체가 면광원이며 확산 광이라는 특징이 있다. 확산광은 눈의 피로감을 줄이고 낮은 높이에서 넓은 면적을 밝힐 수 있어 실내용 조명으 로 적합한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OLED 광원은 매우 얇 고 가벼워서 혁신적인 디자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따라서 OLED 조명의 초기 시장은 예술적 디자인이 적용 된 프리미엄 조명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되 고 있다 . 이전에 단점으로 지적되던 수명과 LED에 비해 떨어지는 외광효율 및 휘도는 최근 활발한 기술개발에 따 LED와의 격차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 럼에도 불구하고 OLED 광원은 형광등이나 LED 광원에 비해 전력효율이 낮은 것이 현실이다. 백색 OLED 패널 이 일반조명용 광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현재 약점으 로 지적되고 있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효율과 길지 않은 수명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 효율과 수명의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 최근 광추출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 LED마찬가지로 다층 박막 구조로 되어 있는 OLED는 굴절률 이 서로 다른 층을 통과하여 외부 공기로 빛이 방출되기 까지 상당한 비율의 빛이 손실되어 버린다. OLED 구조 상의 광학적 문제를 해결하고 더 많은 빛을 OLED 외부 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광추출 기술이라 하며, 광추출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비율이 높아지면 전 력효율은 물론 수명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 OLED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유기물층을 배열하고 전 계를 가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내에서 재결합 하여 형성되는 여기자(exciton)가 기저상태로 떨어지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OLED의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여 필요한 부품 소재의 종류가 적고 일괄생산에 유리한 장점 이 있다. 조명용 OLED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달리 적녹청(RGB) 픽셀의 구분이 없고 다층의 유기발광층을 조두희 1 , 이정익 1 , 추혜용 1 , 오민철 2 (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LED조명연구팀, 2 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Transcript of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Page 1: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기술특집

2011년 제12권 제4호❙ 49

Ⅰ. 머리말

유기발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는 1987년 이스트만 코닥(Eastman Kodak)의 Ching W.

Tang 등에 의해 처음 개발된 이후 비교 짧은 역사 속에

빠르게 상용화 역으로 발 해 왔다. 주로 디스 이

용도로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백색 OLED를 응용하

는 OLED 조명 분야가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OLED는

효율, 수명 등의 향상된 성능을 기반으로 조명 분야로의

새로운 도 을 시작하고 있다. 친환경, 에 지 감형 조

명용 원의 필요성에 따라서 OLED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더불어 유망한 조명용 차세 원으로 인식되

고 있다.[1] 특히, OLED는 성능만이 우수한 것이 아니라

미 요소가 더해져 보는 즐거움이 있는 조명이라는 에

서 그 가치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조명의 신기술

원으로 주목 받는 OLED는 백색 LED 원과 흔히 비교

되곤 한다. LED 원은 매우 높은 휘도를 갖고 수명이

길며 외 효율이 높은 장 이 있지만 발열이 심하여 커다

란 방열장치를 필요로 하며 이 부시고 확산 을 만들기

어려운 단 이 있다. 한 LED가 반도체 칩을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소형의 원이고 면 원화 하는데 있어

서 부가 인 부품과 공정이 필요하다. 이에 반하여 OLED

조명은 패 형태로 생산되므로 자체가 면 원이며 확산

이라는 특징이 있다. 확산 은 의 피로감을 이고

낮은 높이에서 넓은 면 을 밝힐 수 있어 실내용 조명으

로 합한 특성을 나타낸다. 한 OLED 원은 매우 얇

고 가벼워서 신 인 디자인이 가능하다는 장 이 있다.

따라서 OLED 조명의 기 시장은 술 디자인이 용

된 리미엄 조명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상되

고 있다. 이 에 단 으로 지 되던 수명과 LED에 비해

떨어지는 외 효율 휘도는 최근 활발한 기술개발에 따

라 LED와의 격차가 속히 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OLED 원은 형 등이나 LED 원에

비해 력효율이 낮은 것이 실이다. 백색 OLED 패

이 일반조명용 원으로 사용되기 해서는 재 약 으

로 지 되고 있는 상 으로 낮은 력효율과 길지 않은

수명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효율과 수명의 문제를 해

결하기 해 최근 추출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LED와

마찬가지로 다층 박막 구조로 되어 있는 OLED는 굴 률

이 서로 다른 층을 통과하여 외부 공기로 빛이 방출되기

까지 상당한 비율의 빛이 손실되어 버린다. OLED 구조

상의 학 문제를 해결하고 더 많은 빛을 OLED 외부

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추출 기술이라 하며,

추출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비율이 높아지면

력효율은 물론 수명도 획기 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OLED는 두 개의 극 사이에 유기물층을 배열하고

계를 가하여 주입된 자와 정공이 유기물 내에서 재결합

하여 형성되는 여기자(exciton)가 기 상태로 떨어지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OLED의 구조는 비교 단순하여

필요한 부품 소재의 종류가 고 일 생산에 유리한 장

이 있다. 조명용 OLED 패 은 디스 이 패 과 달리

녹청(RGB) 픽셀의 구분이 없고 다층의 유기발 층을

조두희1, 이정익1, 추혜용1, 오민철2 (1한국전자통신연구원 OLED조명연구팀, 2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Page 2: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기술특집❙

50❙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그림 1] OLED에서 광추출의 원리 개념도(ref 3)

[그림 2] 일반적인(위) OLED 및 외부(중간)/내부(아래) 광추출

구조를 포함하는 OLED 개념도

사용하여 백색을 방출하는 것이 일반 이다. 여기서 사용

되는 유기층들은 기능에 따라서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발

층(emission layer, EML), 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등

으로 구성된다. OLED는 사용하는 재료, 발 메카니즘,

발 방향, 구동방법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할 수가

있는데, 발 구조에 따라서 종류를 나 어 보면 유리기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는 배면발 (bottom emission)과 유

리기 반 방향으로 방출하는 면발 (top emission)

으로 나 수 있다.[1~2] 배면발 의 경우 일반 으로 캐소

드는 알루미늄 등의 속 박막이 사용되어 반사 으로 작

용하며 애노드는 ITO 등의 투명산화물 도막이 사용되

어 빛이 방출되는 통로가 된다. 면발 의 경우 캐소드

는 매우 얇은 은 박막을 포함한 다층박막으로 이루어져

캐소드를 통하여 빛을 방출한다. 조명패 에서 양면으로

발 되는 투명 패 을 제외하고 면발 구조가 사용되

는 일은 거의 없어 본고에서는 배면발 구조를 심으로

추출 기술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OLED에서 발 층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형 재료와

인 재료가 있다. 인 OLED는 재결합에 의해 형성된

여기자를 모두 발 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론 내

부양자효율이 100%로 형 OLED에 비해 이론 효율이 4

배가 되어 효율이 우수한 반면 수명이 길지 않은 단 이

있다. 그러나 최근 활발한 인 재료 개발에 힘입어 내부

양자효율과 함께 수명도 크게 향상되어 차로 상용 제품

에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OLED의 내부 양자

효율이 비록 100%라 하더라도 발 량의 약 20%만이 외

부로 방출되고 80% 정도의 빛은 유리 기 과 ITO 유

기소재층의 굴 률 차이에 의한 wave-guiding 효과와 유

리 기 과 공기의 굴 률 차이에 의한 반사 효과로 손

실된다.([그림 1] 참조) 내부 유기발 층의 굴 률은

1.7~1.8이고 애노드로 일반 으로 사용되는 ITO의 굴

률은 약 1.9이다. 두층의 두께는 략 200~400nm로 매우

얇고 기 으로 리 사용되는 유리의 굴 률은 1.5 정도

이므로 OLED 내에는 평면 도 로가 자연스럽게 형성된

다. 계산에 의하면 상기 원인에 의한 내부 도 모드로 손

실되는 빛의 비율이 약 45%에 이른다. 한 기 의 굴

률은 약 1.5이고 외부 공기의 굴 률은 1.0이므로 기 에

서 외부로 빛이 빠져 나갈 때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되는

빛은 반사를 일으켜 유리기 내부에 고립되며 이 게

고립된 빛의 비율은 약 35%에 이르기 때문에, 불과 발

량의 약 20% 정도만 외부로 방출된다.[3] 이와 같이 낮은

추출 효율 때문에 OLED의 외부 효율이 낮은 수 에

머무르고 있어 최근 들어 추출 기술의 개발이 OLED

조명 패 의 효율, 휘도, 수명을 높이는 핵심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애노드(ITO)와 기 사이의 굴 률 차이에 의한 유기

층/ITO층의 고립 을 외부로 추출하는 기술을 내부 추

출이라고 하고 기 내 고립 을 외부로 추출하는 기술을

외부 추출이라고 한다.([그림 2] 참조)

Page 3: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원리

(ref 4)

Ⅱ. OLED 광추출 기술의 종류

OLED의 추출 기술은 머리말에 언 한 바와 같이 외

부 추출과 내부 추출 기술로 분류된다. 외부 추출 기

술은 본래 CCD나 CMOS 이미지 센서의 해상도를 높이

는 용도로 개발된 마이크로 즈 어 이(MLA) 등을 이

용하므로 학 원리에 한 연구의 역사가 오래되었다.

한 기 의 외부에 학 필름을 부착하는 형태로 용되

어 비교 안 하고 용이하게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

는 기술이다. 그러나 외부 추출 기술만을 용할 경우

실 인 효율의 향상이 1.6배 정도로 한계가 있고 회

상으로 인하여 시야각에 따른 색상 변화 발생을 최소

화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재류된산을 고려하고 있는

오스람과 필립스, LG화학 등은 부분 마이크로 즈 어

이 는 산란필름을 고휘도 OLED 조명 패 에 부착

하여 제품을 내보내고 있다.

내부 추출 기술은 이론 으로 3배 이상의 외 효율

향상을 보일 수 있는 신 인 기술로 평가되고 있으나

매우 민감하게 내부 OLED 경계면에 향을 주게 되므로

학 효과 이외에 기 , 기계 , 화학 특성을 모두

만족해야 하는 난이도가 높은 기술이다. 미국 미시건 학

의 Forrest 그룹, 독일의 Philips, Leo 그룹 등 해외의 선진

연구 그룹에서는 활발한 내부 추출 필름에 한 연구를

내놓고 있다. 재까지 내부 외부 추출 필름을 사용

하여 개발한 OLED 소자의 가장 높은 력효율은 독일의

Leo 그룹에서 발표한 약 90lm/W로 고굴 기 을 이용

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고굴 박 유리의 제조 공

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바로 상용화 제품에 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일본의 동경공 Takezoe 그

룹에서는 PDMS/Al buckled 구조를 이용하여 추출 효

율을 190% 이상 높 다고 보고하 다. 10여년 부터 내

부 추출 기술과 련하여 많은 기업과 연구자들이 심

을 가지고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 다. 내부 추출 기술

로는 내부 산란층, 기 표면 변형, 굴 률 조 층, 포토

닉 크리스탈, 나노 구조 형성 방법 등이 내부 추출에 효

과가 있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 MLA 필름이나 산

란 필름 등을 OLED 패 외부면에 부착하는 외부 추

출 기술은 어느 정도 확립되어 있으나 신뢰성 있는 내부

추출 기술은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Ⅲ. 외부광추출 기술

1.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LA)

마이크로 즈 어 이는 1mm 미만의 직경을 가지는

작은 즈를 평탄한 기 에 2차원 으로 배열하여 놓

은 것을 말한다. 최 에는 포토 지스트를 사각 는 육

각형으로 패터닝한 후 가열하여 녹아내리는 공정으로 볼

록 즈형의 마이크로 즈 어 이를 제작하 으나 최근

에는 오목한 형틀을 가진 마스터 몰드를 이용하여 인쇄하

듯이 어내는 공정으로 량생산이 가능하여졌다. 마이

크로 즈 어 이는 CCD나 CMOS 이미지 센서의 해상

도를 높이고 센서 크기를 이는 용도로 리 개발되었으

나 OLED에 용할 경우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어

OLED 조명 패 기술에 용되기 시작하 다. 마이크로

즈 어 이는 [그림 3]과 같이 평면에 비해서 곡면을 이

루는 마이크로 즈의 표면 선과 이루는 빛의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작아지므로 반사에 의해 기 내부에 갇히

지 않고 외부로 추출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일반 으로

마이크로 즈 어 이의 매질은 기 과 동일한 굴 률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며 즈의 직경은 수십um의 크기를

가진다. 마이크로 즈의 도가 높을수록 추출 효율은

증가하고 즈의 형상에 따라 배 분포가 변화한다. 마이

크로 즈 어 이 시트를 사용하여 외부 추출 구조를 기

Page 4: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기술특집❙

52❙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그림 4]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미세구조(위) 및 시트

사진(아래)(from temicon homepage)

외부에 부착하 을 때 략 50% 정도의 효율 증 가

있으며 이론 으로는 85%, 문헌상으로는 70%까지 추

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4] 마이크로 즈

어 이는 기 외부에 부착하는 폴리머 시트 형태로 제작

하고 OLED 패 을 제작한 후에 기 외부에 붙이면 완

성된다. 따라서 사출 인쇄 방법을 이용하여 면 으

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고 가격이 싸다. 그러나 마이크로

즈의 형상과 배열을 잘 조 하지 않으면 시야각에 따른

색상변화와 간섭색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마이크로 즈 어 이는 이미 이미지 센서나 액정 디스

이에서 사용되고 있어 량생산에 용되는데 큰 문제

가 없어 부분의 고효율 OLED 조명 패 에 사용 될 것

으로 보인다.

2. 외부 광산란층(external scattering layer)

산란층은 OLED 내부 기 외부에 모두 용할

수 있는 추출 구조이다. 내부에 사용하는 내부 산란

층은 다음 장에서 다루도록 하고 여기에서는 기 외부에

용하는 외부 산란층에 해서 살펴본다. 외부 산란

층은 마이크로 즈 어 이 시트와 유사한 방법으로 기

외부에 시트 형태로 제작하여 부착할 수도 있고 용액으로

제조하여 기 에 코 한 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용

할 수도 있다. 외부 산란층은 시야각에 따른 색상 변화

가 없고 간섭색도 없으며 산란층 통과 후의 배 분포

가 Lambertian 분포를 유지하므로 백색 OLED 조명 패

에 용하기 좋은 추출 구조이다. 그러나 산란층이

두꺼워지고 산란 입자가 다층 구조를 이루게 되면 단

장이 장 장 빛에 비해 산란효과가 하게 커져 투과색

이 황 색을 띠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장에 따른 산

란 효과 차이에 의한 스펙트럼 변화를 최소화하기 해서

는 산란입자의 굴 률과 크기 도, 기지 재료의 굴

률 흡수 스펙트럼 등을 잘 조 할 필요가 있다. 야마사

키 등은 550nm 직경의 실리카 비드를 사용하여 외부

추출을 실시하 고,[5] ZrO2 입자나 실리카 콜로이드 입자

를 기 외부에 린트하여 외부 추출 구조를 제조하기

도 한다.[6~7] 단순한 추출 효과를 넘어서 청색 OLED의

기 외부에 down conversion 형 체 콜로이드를 코 하

여 산란에 의한 추출 효과 백색 을 발 하는

OLED 구조를 제안하기도 하 다.[8~9] 외부 형 체 콜로

이드 구조는 두께 형 체 크기, 농도에 따라 흡수되는

빛과 산란 재발 하는 빛의 비율이 민감하게 달라지므

로 세심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작은 공기방울을

함유한 폴리머 시트를 이용하여 산란층을 형성하는 것

이 효과 인 추출 방법임이 알려져 있다. 공기방울의

굴 률은 1.0이므로 1.5정도의 기지 재료와 굴 률 차이

가 매우 커서 산란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상 으

로 산란층의 두께도 일 수 있어 스펙트럼 변화를 최

소화하기에 유리하다.

3. 저반사 필름(anti-reflective film)

반사 필름은 소자의 단면에서 격한 굴 율 변화

로 인해 발생하는 빛의 반사를 없애고 투과하는 빛의 양

을 증가시키기 하여 유 체 등의 물질들로 소자 단면

에 얇게 1~3층 정도 쌓는 것을 말한다. 일반 으로 유리

기 에 빛이 입사할 때와 투과하여 나갈 때 2차례에 걸쳐

반사가 일어나 약 8% 정도의 빛이 반사로 손실되나

OLED에서는 소자의 구조 상 외부공기로 나갈 때 1차례

반사가 일어나므로 반사 필름을 외부 추출에 사용할

Page 5: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3

[그림 5] 저반사 필름의 광학적 원리(from

Wikipedia)

[그림 6] 브래그 미러를 이용한 미소공진 개념도

(from NEEL homepage)

경우 4% 정도의 추출 효율 증 를 기 할 수 있다. 단

일 장 빛에서는 수직으로 입사되는 빛의 최소 반사를

원하는 경우, 증착시킬 기 의 굴 률의 제곱근에 해당하

는 굴 률을 가지는 물질로 그 장의 4분의 1 두께로 증

착하면 된다. 그러나 가시 선 역과 같이 여러 장에

서 최소의 반사율을 원하는 경우에는 여러 층의 다른 물

질을 증착하여야 한다. [그림 5]에 반사 필름의 반사율

감소 원리를 나타내었다.

Ⅳ. 내부광추출 기술

1. 미소공진(micro-resonator)

미소공진은 micro-cavity라고도 하며 [그림 6]과 같이

가운데 스페이서층(spacer layer)을 두고 양측에 래그

미러나 속 미러층을 두어 공진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 다이오드와 같은 소자에서 자발 방출 속도

(spontaneous emission rate)를 올리는 역할을 한다. 스페

이서층의 두께가 가시 선의 정상 를 발생하도록 장

정도의 크기를 가져 미소라는 어휘가 붙게 되었다. OLED

에 있어 미소공진은 강한 공진구조(strong cavity)와 약한

공진구조(weak cavity)가 있다. OLED는 특별히 공진구조

를 설계하지 않아도 약한 공진구조를 가지고 있다. 심

에 굴 률 1.7~1.8을 가지는 유기발 층이 수백nm 두께

로 층되어 있고 그 양측에 굴 률 1.9 정도의 ITO(애노

드)층과 속 캐소드 층을 기본 구조로 하기 때문에 자연

스럽게 미소공진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기발 층 두

께 ITO층의 두께에 따라 추출 효율이 크게 달라진

다. 특히 재결합 역(recombination zone)의 상 치

가 변화함에 따라 내외부 도 모드에 한 추출모드의

비율이 22%에서 55%까지 바뀔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한 캐소드의 두께가 λ/4를 과하면 추출 효율이 크

게 떨어지게 된다.[10] 유기발 층을 다층구조로 사용하는

탠덤구조(tandem structure)은 미소공진 구조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어 색상 변조 OLED 패 을 제작하는데 사

용하기도 한다. Nakayama 등에 의해 유기 발 소자에서

강한 미소공진 효과를 한 캐비티 구조를 사용하여 증

시킬 수 있음이 알려진 후 강한 미소공진 구조는

OLED 소자에서 리 사용되어 왔다.[11] Dodabalapur 등

은 SiO2/SixNy의 다층박막을 애노드 측에 첨가하여 추

출 효율을 증가시키고 RGB 각 층의 색순도를 높 다.[12]

미소공진 구조는 OLED 소자의 각 층을 증착하기 에

유사한 증착 방법으로 래그 미러층을 증착하고 OLED

증의 두께를 조 하면 되어 추출 구조에 의한 표면 이

상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패 양산에 용하기가 용이하

다. 그러나 미소공진 구조를 OLED 조명 패 의 내부

추출에 사용하는 데는 큰 문제 이 있다. 바로 모든 미소

공진은 스펙트럼 소화(spectrum narrowing)가 필수 으

로 동반된다는 것이다. 강한 미소공진 구조를 사용할수록

스펙트럼 소화도 강하여져서 아주 좁은 장 역의 빛

만 강하게 나오고 해당 장 역 이외의 장을 가진 빛

은 오히려 발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백색 OLED 소자를 사용하는 OLED 조명 패

Page 6: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기술특집❙

54❙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그림 7] 광결정을 이용한 내부광추출 구조(ref 15)

의 경우에 미소공진 구조를 사용하면 패 의 발 색상이

백색 범 를 벗어나기 쉽고 특정 장 역 이외에는

추출 효율이 떨어져 체 추출 효율을 오히려 감소시킬

수도 있다. 미소공진 효과는 RGB 단색을 따로 발 하는

디스 이 패 는 단색 OLED 패 에 유용하게 사

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eng 등은 미소공진 구조

를 최 화하여 상향발 OLED 소자에서 추출 효율을

약 65% 향상시킨 결과를 발표하 다.[13]

2. 광결정(photonic crystal)

결정이란 유 상수가 다른 두 물질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나노미터 스 일로 배열되어 빛의 장에 따라 투

과가 허용되거나 지되어 특정 장의 빛만을 투과하거

나 반사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 여기서 지된 장

역을 photonic band gap이라 하고 이 상을 이용하여

손실이 거의 없이 경로를 바꿀 수 있는 소자의 제작

이 가능하다. 결정은 흔히 래그 격자라고 불리는 1차

원 결정과 평면 상에 요철 돌기를 일정한 주기를 가

지고 배열하는 2차원 결정과 입체 으로 구성된 3차

원 결정의 3가지 종류가 있다. 결정은 결국 의

회 을 이용하는 것으로 OLED의 내부에 형성되는 평면

도 로 상에 평면 방향으로 빛이 통과할 수 없도록

결정 구조를 넣어 지 역을 형성하면 유기발 층에서

생성된 빛이 도 모드를 형성하지 못하고 외부로 발산하

게 된다. 이 상을 이용하여 OLED에 이차원 결정 구

조를 형성하고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Fujita 등이

결정을 OLED에 용하여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고 발표한 후 여러 편의 OLED 결정에 한 논문이 발

표되었다.[14~15] Fujita 등은 유리 기 에 150nm 두께의

ITO 박막을 올리고 자빔 리쏘그래피와 유도 결합 라

즈마 에칭을 통하여 주기 300nm, 깊이 60nm의 결정을

ITO 필름 상에 형성한 후 유기발 층을 증착하여 OLED

소자를 제작하 다. 결정을 용하기 에 비해 약

50% 정도의 휘도 향상을 찰하 다고 보고하 다. Lee

등은 유리 기 에 SiO2 층을 200nm로 증착하고 홀로

그래피 리쏘그래피와 반응 이온 식각법을 통해 주기

600nm, 깊이 200nm의 결정 구조를 형성한 후 SiNx 버

퍼층을 800nm 두께로 증착하 다. 그 에 ITO와 유기발

층 등을 증착하여 OLED 소자를 제작하고 학 특성

을 측정한 결과 약 50%의 외 효율 증가를 찰하 다.

최근에는 나노 캐비티를 이용한 유기 결정을 이용하여

OLED의 추출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이 알

려졌다.[16] 이 상은 주기 구조를 가진 유기 소자 내에

인 인 결함을 넣어 주기성을 교란하고 이러한 교란

에 의해서 자발 발 속도를 극 화하는 기술이다. 상

기 인 결함을 결정 나노 캐비티라 부른다.

결정을 이용한 내부 추출 구조는 추출 효율을

크게 높일 수는 있으나 미소공진 구조와 같이 외 효율

배 분포가 발 장에 크게 의존하는 단 이 있다.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결정은 원리 으로 빛의

장과 결정 주기가 서로 련되어 빛의 진행 방향이 바

는 것이므로 빛의 주기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결정에 의한 내부 추출 방법은 단색 OLED에는

용이 가능하나 백색 OLED를 사용하는 OLED 조명 패

에서는 특정 장의 추출 효율만이 높아지므로 사용하

기 곤란하다.

3. 내부 광산란층(internal scattering layer)

산란층을 이용한 추출 기술은 외부 산란층에서

말한 바와 같이 시야각에 따른 색상 변화가 없고 근본

으로 Lambertian 배 이 되므로 패 의 밝기가 균일한 장

Page 7: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5

[그림 8] 내부광산란층을 이용한 내부광추출 구조의

제조방법(위)과 현미경 사진(아래)(ref 17)

이 있다. 한 산란층은 굴 률이 서로 다른 이종의

재료를 잘 혼합하여 유리 기 에 도포하기만 하면 되

므로 비교 제조공정이 간단한 장 이 있다. Yamasaki

등은 직경 550nm인 실리카 나노 스피어를 내부 산란층

에 이용한 OLED 구조를 발표하 다.[5] 실리카 나노 스피

어가 산란 심으로 작용하여 추출 효과는 있었으나

이 구조는 단일층 육각 최 충진구조를 이용하 기 때문

에 추출 에 회 상이 수반되어 스펙트럼이 변화하

고 시야각에 따른 색상변화가 나타나는 단 이 있다.

H-W Chang 등은 2010년 SID에서 TiO2 나노 입자를 혼

합한 포토 지스트 용액을 유리 기 에 스핀 코 으로

도포하고 그 에 ITO와 유기발 층, Ag 캐소드 등을 증

착하여 제조한 OLED 소자에서 약 2배 정도의 추출 효

율 증 를 찰하 다.[17] TiO2 우더는 평균 직경

400nm를 사용하 고 투명 포토 지스트 재료를 사용하

다. 가장 높은 추출 효율 증가를 보인 샘 은 포토

지스트 10cc에 2.39g의 TiO2 우더를 혼합하 고

투과율이 70.7%인 샘 이었다. 산란층을 용하면

산란층이 없는 경우에 비해 추출 효율이 증가함은 물

론, 시야각에 따른 색상변화가 더 고 Lambertian에 더

가까운 배 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하 다. 내부 산란

층을 이용하여 추출을 하는 경우 상기 경우처럼 제조공

정이 간단하고 평활한 표면을 쉽게 제공하므로 그 에

OLED 소자를 층하기 용이하다. 그러나 산란 효과를

크게 나타내기 해서는 산란 심이 충분히 많아야 하는

데, 산란 심이 무 많아질 경우 후방산란(back

scattering)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유기발 층 내에서

산란 이 다시 흡수될 확률도 증가한다.[18] 따라서 산란

도와 내부흡수가 최 화 되어야 추출 효율 증가가 일어

난다. 그러나 이것은 산란층 내에서 빛의 흡수가

없다고 가정한 경우이고, 부분 산란층 내부에서 흡수

가 있을 경우 추출 효과에 의한 효율 증가분이 산

란층의 흡수로 인하여 감소된다.[19] 산란층에서

absorbance가 0.1만 되어도 추출 효과보다 오히려 흡수

로 인한 효율 하가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산란

층을 내부 추출 구조로 사용하기 해서는 가시 선의

흡수가 극히 고 가능한 얇은 두께로 제조하여야 한다.

4. 나노 요철 구조(nano embossing structure)

나노 요철 구조를 이용한 추출은 결정과 산란층

의 장 만을 이용하는 추출 구조로 최근 많은 연구결과

가 발표되고 있다. 앞에서 살펴 보았듯이 결정 구조는

특정한 빛의 장 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여 백색

OLED 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 이 있고 산란층은

내부 흡수를 피하기 어려워 추출 효과가 반감되는 단

이 있다. 나노 요철구조는 결정과 같이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요철구조물을 내부 추출 구조에 이용하지만 일

정한 주기를 갖지 않고 불규칙 으로 구조물을 배열한다.

따라서 부분 으로 회 효과가 있으나 단일층의 산란

층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빛의 장 의존성과 시야각에

의한 색상변화 배 의 왜곡이 거의 없어지게 되고 자

체 흡수도 거의 무시할 수 있게 된다. 나노 요철 구조는

크게 애노드로 사용되는 투명 극 에 형성되어 추

출하는 구조와 투명 극 아래 형성되는 구조로 나 수

있다.

(1) 애노드 위의 나노구조(nano structure on ITO)

애노드 에 형성되는 나노구조는 투명 극과 유기발

층 사이에 형성되는 추출 구조이다. 나노구조에 의해

빛이 산란되거나 회 을 일으키기 해서는 빛이 도 되

는 매질의 굴 률과 차이가 큰 굴 률을 가지는 소재로

구조물을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도 로 역할을 하는

Page 8: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기술특집❙

56❙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그림 9] ITO 위에 폴리머 격자를 형성하여 제작한

내부광추출 구조의 개념도(ref 21)

[그림 10] 나노 임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내부광추출 나노구조 제조공정(ref 23)

유기발 층(굴 률 1.7~1.8)에 비해서 굴 률이 히

낮은 SiO2(굴 률 1.4) 등이 나노구조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 Y-C Kim 등은 홀로그램 리쏘그래피와 반응 이온

에칭을 이용하여 ITO 에 증착된 SiO2 층에 220nm 직

경과 360nm 간격을 갖는 나노 홀을 형성하고 그 에 유

기발 층과 캐소드를 층하여 OLED를 제작하 다. 그

러나 소자의 특성을 측정 결과, 뚜렷한 추출 효율 향상

을 찰하지는 못하 다.[20] 이후 굴 소재를 이용한

나노구조를 투명 극 에 형성하여 추출 효율을 높이

는 OLED에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부산

오민철 교수 그룹에서는 ITO 에 포토 지스트(굴 률

1.58)를 도포한 후 홀로그램 리쏘그래피를 이용하여 나노

구조를 패터닝하고 그 에 유기발 층 캐소드를 증착

하여 OLED 제작하 다.[21] 이 구조를 이용하여 72%의

추출 효율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고 보고하 다. Y.

Sun 등은 ITO 층 에 굴 그리드를 형성하여 내부

추출 구조를 제작하 다. 굴 그리드는 폭 1μm, 간격

6μm 정도로 SiO2를 소재로 사용하여 제작하 고, 회

효과가 아닌 산란 효과를 이용하 다. 34% 정도의 추

출 효율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마이크로 즈 어 이와 복

합할 경우 2.3배의 높은 효율 증가를 나타내었다.[22] 애노

드 에 나노구조를 형성하는 내부 추출구조는 발 면

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여 단 면 당 발 하는 속

은 어들게 되나 나노구조 상으로는 류가 흐르지 않으

므로 효율에는 거의 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내부

추출 구조는 유기발 층에 직 요철구조를 형성하므로

수평면 상의 도 모드를 다른 모드로 환하는 효과가 매

우 크다는 장 이 있다. 그러나 애노드 극 에 구조물

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유기발 층과 하는 애노드 면

이 변성되어 일함수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어 유기발 층

을 증착하기 에 세심하게 세척하고 일함수를 히 맞

추는 공정이 필요하다. 한 유기발 층이 굴곡을 갖게

되므로 설 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나노구조

물의 경계면을 조 할 필요가 있다.

(2) 애노드 아래 나노구조(nano structure under ITO)

애노드 아래 즉 애노드와 유리 기 사이의 경계면에

나노 스 일의 요철 구조물을 형성하여도 내부 추출을

할 수 있다. 유기발 층의 굴 률은 1.7~1.8이고 애노드

로 사용되는 ITO의 굴 률이 략 1.9이므로 유기발 층

과 애노드는 일반 으로 캐소드와 유리기 사이에서 하

나의 도 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유기발 층과

애노드에 함께 도 모드가 존재하는데 애노드에 인 한

경계면에 나노구조물을 형성하면 도 모드가 교란되어

외부로 추출되는 빛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애노드 아

래에 요철구조가 있으면 그 의 애노드의 형상이 아래

요철구조의 형상을 따라가게 되어 국부 으로 뾰족한 부

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OLED는 매우 얇은 박

막의 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애노드에 뾰족하게

돌출된 부분이 있으면 그 부분에 류가 집 하게 되고

큰 설 류의 원인이 되거나 력효율의 하를 가져온

다. 이러한 기 특성의 하를 방지하기 해 애노드

Page 9: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7

[그림 11] MgO/ZrO2 박막을 나노 구조로 이용한

OLED 개념도(ref 25)

아래 나노구조를 형성할 경우에는 부분 고굴 률의 평

탄막을 함께 사용한다. 평탄막은 애노드와 유사한 굴 률

을 가진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그 지 않고 굴 률이 낮

으면 빛이 나노구조물에 의해 교란되기도 에 애노드/평

탄막 경계면에서 부분 반사되어 애노드/유기발 층에

갇히는 도 모드로 되기 때문이다. H-H Cho 등은 자외선

을 이용하는 나노 임 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유리 기

에 나노 요철 구조를 만들고 그 에 TiO2 박막을 평탄

층으로 도포한 후 OLED 소자를 제작하고, 그 기 학

특성을 측정하여 발표하 다.[22] 특이한 것은 졸-겔 방

법으로 TiO2 박막을 도포하고 열처리한 후에 PDMS 평

으로 싱하여 표면의 요철을 완화하는 평탄화 작업

을 한 것이다. 이 게 만들어진 OLED는 평 유리를 사

용하는 일반 인 OLED에 비하여 58%의 외 효율 향상

이 있었고 나노구조 추출에 의해 배 은 Lambertian에

서 크게 벗어나는 것을 찰하 다.

K. Hong 등은 결정성 MgO 박막이 비등방성으로 성장

하는 것을 이용하여 자빔 증착 방법으로 나노 요철 구

조를 가진 MgO/ZrO2 박막을 증착하고, 그 에 애노드

(ITO)와 유기발 층 알루미늄 캐소드를 층하여

OLED 소자를 제작한 후, 기 학 특성을 측정하 다.

평 유리를 사용한 기존의 OLED 구조에 비해 약 35%

의 력효율 증가를 나타내었다. MgO의 굴 률은 1.73으

로 비교 낮고 ZrO2의 굴 률은 1.84이므로 MgO 층만

을 용했을 때는 별다른 추출 효율의 증가가 없다가

ZrO2 층과 함께 용했을 때 뚜렷한 효율 증가를 나타내

었다.

이와 같이 애노드 아래에 나노구조를 용할 경우에는

도 모드 이 아래 쪽의 나노 구조에 교란되어 산란되

기 쉽도록 고굴 률의 평탄층을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필

요하다. 한 평탄층의 두께는 가능한 얇은 것이 좋다. 평

탄층이 무 두꺼우면 불필요한 흡수가 증가할 수 있고

나노구조층과 발 층과의 거리가 무 멀어 산란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올록볼록한 나노 구조의 요철형

상을 수백nm의 얇은 평탄층으로 완벽하게 평탄화하는 것

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한 요철구조를 덮고 평탄화하

기 해서는 증착법보다는 용액법에 의한 코 이 바람직

한데, 굴 률이 ITO의 굴 률 이상이고 OLED 기 표면

에 요구되는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하는 고굴 용액 코

소재를 구하기는 재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가장 손쉽

게 구할 수 있는 고굴 용액 코 소재로는 졸-겔 방법

을 이용하여 코 하는 TiO2, ZrO2 등의 졸용액이지만 졸-

겔 방법으로 코 되는 무기박막은 후열처리 과정에서 매

우 큰 부피 수축이 수반되므로 균열 없이 수백nm의 두꺼

운 박막을 제조하기 어려운 단 이 있다. 비교 균열의

험이 은 폴리머 소재의 경우는 굴 률이 1.7을 넘기

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애노드 아래 나노구조를 이용한

추출 기술 개발을 해서는 용액법으로 수백nm 스 일

의 박막코 이 가능한 고굴 소재의 개발이 필수 이다.

최근 ETRI에서는 속 박막의 비젖음(dewetting) 상

을 이용하여 불규칙한 형상의 나노 패턴을 가지는 속

마스크를 제작하고 라즈마 식각 방법으로 나노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발하 다. 유리 기 에 화학증착

방법으로 SiO2 층을 증착하여 나노구조 층을 제작한 후

그 에 열증착 방법으로 Ag 박막을 올리고 300~500oC

로 열처리하여 비젖음 속 마스크를 제작하 다. 반응이

온식각 방법으로 SiO2 층을 부분 식각한 후 질산으로 Ag

마스크를 제거하 다. 나노구조 패턴의 주기는 수백nm

으며 높이는 80~160nm 다. 나노 요철 구조 에는

폴리이미드계 평탄층을 도포하여 요철 표면을 평탄화하

고 평탄층 에 ITO, 유기발 층, Al 순으로 층하여

OLED 소자를 제작하 다. 평탄층의 굴 률은 1.7 정도

고 평탄층 표면은 [그림 12-(d)]에 보이는바와 같이 매

우 평활하 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OLED는 평

Page 10: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기술특집❙

58❙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그림 12] ETRI의 금속 비젖음 마스크(a) 및 그를 이용한

나노구조(b,c,d)와 광효율 특성(아래)

유리를 사용한 기존의 OLED에 비해 약 46%의 력효율

향상을 나타내었고 설 류나 압 역 류 도도

기존의 OLED와 다르지 않게 안정한 기 특성을 나타

내었다. 상기 OLED 내부 추출 구조는 면 에 균일하

게 형성하기 용이하며 별도의 리쏘그래피 방법을 사용하

지 않아 제조 비용도 매우 렴하다. 하나의 특징은 나

노구조를 형성한 기 도 매우 투명하여 헤이즈가 거의 나

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나노구조 추출

방법은 투명 OLED 패 에도 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

나노구조를 이용한 추출 방법을 이용할 때 ITO를 애

노드로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Riedel 등

은 유리 기 에 Ta2O5층을 300nm 두께로 증착하고

이 간섭 리쏘그래피와 라즈마 에칭 방법으로 370nm

주기의 격자를 형성한 후 ITO를 애노드로 증착하지 않고

PEDOT:PSS를 스핀코 방법으로 도포하여 평탄층과 애

노드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하게 하 다. 이러한 나노구조

에 유기발 층과 알루미늄을 층하여 OLED를 제작

하 는데 평 유리 에 제작한 OLED에 비해서 외 효

율이 최 3배 정도 증가하는 것을 찰하 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OLED는 용액 도포 방법으로 유기발 층을

층하고 PEDOT의 도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구동

압이 매우 높은 등 기 특성이 좋지 않아 실제로 사용

하기 해서는 많은 공정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

다.

애노드 아래에 용하는 나노구조 내부 추출 기술

에 평탄층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도 있다. W-H Koo 등은

100oC로 열된 PDMD 필름이 도포된 기 에 알루미

늄 박막을 얇게 올린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평균 주기

400nm, 깊이 50~70nm 정도인 불규칙한 주름 패턴을 얻

었다. 이것을 나노 임 린트 리카로 사용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한 유리 기 에 나노 주름 패턴을 형성

하 다. 그 에 120nm 두께의 ITO를 증착하고 유기발

층 캐소드를 층하여 OLED 소자를 제작하고 기

학 특성을 측정한 결과 최고 190% 정도의 력효율 향

상을 찰하 다.[26] 재까지 보고된 내부 추출 기술을

이용한 OLED 소자에서 가장 높은 추출 효율 향상을

나타내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Ⅴ. 맺음말

최근 OLED 조명 기술의 발 속도가 놀라울 정도로

빨라져 그 성능이 기존 조명 수 이상으로 발 하고 있

고 가격도 량 생산으로 확 될 경우 크게 낮아져 향후

일반 조명 시장까지도 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 OLED 조명 패 의 성능은 기존의 고

효율 조명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기술 한계를 극복하기 해서 가장 주목 받는 기술이

추출 분야이고 OLED의 추출 기술에 한 연구개발

이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외부 추출 기술은 이미

양산 패 에 용이 가능할 만큼 성숙되었다. 내부 추출

기술은 외부 추출에 비해 크게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 양산에 용할만큼 안

정된 기술이 없어 안정하고 비용이 낮으며 면 에 용

할 수 있는 소재, 공정, 설계 분야의 신 인 기술 개발

이 요구되고 있다.

Page 11: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9

참 고 문 헌

[ 1 ] 추혜용 외, OLED조명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 분석 24

권 4호 (2009).

[ 2 ] 추혜용 이정익, 물리학과 첨단기술 2005년4월호, 25쪽

(2005).

[ 3 ] Kanchan Saxena, V. K. Jain, D. S. Mehta, Optical

Materials 32, 221 (2009).

[ 4 ] H. Peng, Y.L. Ho, X.-J. Yu, M. Wong, H.-S. Kwok,

J. Disp. Tech. 1, 278 (2005).

[ 5 ] T. Yamasaki, K. Sumioka, T. Tsutsui, Appl. Phys. Lett.

76 (2000) 1243.

[ 6 ] J.J. Shiang, T.J. Faircloth, A.R. Duggal, J. Appl. Phys.

95 (2004) 2889.

[ 7 ] F. Li, X. Li, J. Zhang, Y. Yang, Org. Electron. 8 (2007)

635.

[ 8 ] C.H. Chang, Y.J. Lu, C.-C. Liu, Y.-H. Yeh, C.C. Wu,

J. Disp. Tech. 3 (2007) 193.

[ 9 ] B.C. Krummacher, M. Mathai, F. So, S. Choulis, V.E.

Choong, J. Disp. Tech. 3 (2007) 200.

[10] J. Lee, N. Chopra, F. So, Appl. Phys. Lett. 92, 033303

(2008).

[11] T. Nakayama, Y. Itoh, A. Kakuta, Appl. Phys. Lett. 63

(1993) 594.

[12] A. Dodabalapur, L.J. Rothberg, T. Miller, E.W. Kwock,

Appl. Phys. Lett. 64 (1994) 2486.

[13] H. Peng, J. Sun, X. Zhu, X. Yu, M. Wong, H.-S.

Kwoka, Appl. Phys. Lett. 88 (2006) 073517.

[14] M. Fujita, T. Ueno, S. Noda, H. Ohata, T. Tsuji, H.

Nakada, N. Shimoji, Electron. Lett. 39 (2003) 121.

[15] Y.-J. Lee, Y.-H. Kim, G.-H. Kim, Y.-H. Lee, S.-H. Cho,

Y.-W. Song, Y.-C. Kim, Y.R. Do, Opt. Exp. 13 (2005)

5864.

[16] S. Noda, M. Fujita, T. Asano, Nat. Photonics 1 (2007)

449.

[17] Hong-Wei Chang, Kun-Cheng Tien, Min-Hung Hsu,

Yi-Hsiang Huang, and Chung-Chih Wu, Digest of SID

2010, 5.4 (2010).

[18] R. Bathelt, D. Buchhauser, C. Garditz, R. Paetzold,

P. Wellmann, Org. Electron. 8 (2007) 293.

[19] F. W. Mont, J. K. Kim, M. F. Schubert, E. F. Schubert,

and R. W. Siegel, J. Appl. Phys. 103,083120(2008).

[20] Y.-C. Kim, Y.R. Do, Opt. Exp. 13 (2005) 1598.

[21] Ji-Hyang Jang, Min-Cheol Oh, Tae-Hoon Yoon, and

Jae Chang Kim, Appl. Phys. Lett. 97, 123302 (2010).

[22] Y. Sun and S. R. Forrest, Nature Photonincs 2,483

(2008).

[23] Hwan-Hee Cho, Boik Park, Hyong-Jun Kim, Jongyoup

Shim, Sohee Jeon, Jun-ho Jeong, Jang-Joo Kim,

Curr. Appl. Phys., 10, e139 (2010).

[24] Boris Riedel, Julian Hauss, Ulf Geyer, Johanna

Guetlein, Uli Lemmer, and Martina Gerken, Appl. Phys.

Lett. 96, 243302 (2010).

[25] Kihyon Hong, Hak Ki Yu, Ilhwan Lee, Kisoo Kim,

Sungjun Kim, and Jong-Lam Lee, Adv. Mater. 22,

4890 (2010).

[26] Won Hoe Koo, Soon Moon Jeong, Fumito Araoka,

Ken Ishikawa, Suzushi Nishimura, Takehiro Toyooka

and Hideo Takezoe, Nature Photonics 4, 222 (2010).

저 자 약 력

조 두 희

∙ 1987년 : 한양대학교 재료공학과 공학사

∙ 1989년 : KAIST 재료공학과 공학석사

∙ 1996년 : 일본 경도대학 재료공학과 공학

박사

∙ 1998년~현재 :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OLED 조명 연구팀 책임연구원

∙관심분야 : OLED 디스플레이 및 조명, 산

화물 TFT, OLED 광추출

이 정 익

∙ 1992년 : KAIST 화학과 이학사

∙ 1994년 : KAIST 화학과 이학석사

∙ 1997년 : KAIST 화학과 이학박사

∙ 1998년 : IBM Almaden Research Center

Post. Doc.

∙ 1999년~현재 :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OLED 조명연구팀 팀장

∙관심분야 : OLED 디스플레이 및 조명,

OLED 소자

Page 12: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조명... · 2012-06-14 · oled 조명 패널의 광추출 기술 2011년 제12권 제4호 51 [그림 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추출

❙기술특집❙

60❙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추 혜 용

∙ 1987년 :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이학사

∙ 1989년 :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이학석사

∙ 2008년 : 경희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공학박사

∙ 1989년~현재 :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소재소자연구부 부장

∙관심분야 : OLED 조명 및 디스플레이,

OLED 응용소자

오 민 철

∙ 1990년 : KAIST 정보통신공학과 학사

∙ 1992년 :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석사

∙ 1996년 :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박사

∙ 1996년~1999년 : ETRI(한국전자통신연구

원) 기초기술연구부, 선임연구원

∙ 1999년~2002년 : Universtiy of Southern

California, Research Associate, Pacific

Wave Industrials, Chief Scientist

∙ 2002년~2003년 : ZenPhotonics, 이사

∙ 2003년~현재 :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 부교수

∙관심분야 : OLED 광소자, 유기광학소자,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