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어법에 보이는 문화특징 - ocw.sogang.ac.krocw.sogang.ac.kr/rfile/2014/chinese...

14
중국언어로 보는 중국문화 5*

Transcript of 중국어 어법에 보이는 문화특징 - ocw.sogang.ac.krocw.sogang.ac.kr/rfile/2014/chinese...

  • 중국언어로 보는 중국문화 제5강

    *

  • *

    *(ex) 我讀過這本書。/ 這本書我讀過。

    *통사론(句法: syntax): 기호와 기호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 문장을 구성하는 단위들 간의 결합규칙을 연구(主語, 賓語...)

    *의미론(語義: semantics): 기호와 사유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 문장을 구성하는 단위들 간의 의미관계를 연구(施事, 受事...)

    *화용론(語用: pragmatics): 기호와 해석자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 어떻게 문장을 구성하여 청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지를 연구(主題, 評論/ 신정보, 구정보)

  • *

    1)한국어 어법소(語法素)의 숫자.

    한국어는 교착어(粘着語)이므로 주로 단어의 뒤에 어법소를 덧붙여 단어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 *

    2) 한국어는 SOV형 언어, 중국어는 SVO형 언어.

    실제 언어생활에서 서술어는 전체 문장의 의미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한국어는 늘 서술어가 문장의 끝에 오는 반면 중국어는 서술어가 주로 술어부의 앞쪽에 위치한다. # 그러나, 중국어의 SVO형 문장은 9%에 불과하다.(申小龍)

  • * 중국어 어순

    SVO 특징 SOV 특징

    ⋅SVO 형식의 문장이 있다 ⋅SOV 형식의 문장이 있다 ⋅전치사가 있다 ⋅전치사구가 동사 앞에 놓인다(시 ⋅조동사가 동사 앞에 놓인다 간구, 처소구는 제외) ⋅복문의 어순은 거의 모두 ⋅후치사가 있다 SVO이다 ⋅관계절은 피수식명사 앞에 놓인다 ⋅소유구(Genitive phrases)는 피수 식명사 앞에 놓인다 ⋅상을 표시하는 접미사는 동사 다음 에 온다 ⋅부사는 동사 앞에 온다

  • *1) SVO 언어적 특징

    (ⅰ) SVO 형식의 문장이 있다

    (ⅱ) 전치사(介詞)가 있다

    (ⅲ) 조동사는 동사 앞에 놓인다

    (ⅳ) 복문의 어순은 거의 모두 SVO이다

  • *2) SOV 언어적 특징

    (ⅰ) SOV 형식의 문장이 있다

    (ⅱ) 전치사구(개사구)가 동사 앞에 놓이며, 후치사가 있다(처소조사를 후치사로 본다면)

    He fryng rice in the kitchen

    (ⅲ) 관계절은 피수식명사 앞에 온다. 또한 소유구도 피수식명사 앞에 놓인다

    The child can speak Mandarin is my son

    (ⅳ) 상표지는 동사 다음에 온다

    (ⅴ) 어떤 부사는 동사 앞에 온다

    You eat slowly

  • *

    3) 한국어는 어미활용을 통해서 시제(tense)를 나타내지만 중국어는 시제를 표시하는 어법표지가 없고, 상相(aspect)표지를 사용한다.

  • *

    4) 한국어는 교착어이고 중국어는 고립어이다. ① 수식어(修飾語)가 피수식어(被修飾語) 앞에 위치하는 공통점이 보이지만, 부정(否定)을 할 때는 한국어는 어법소를 이용하여 범위를 나타내지만 중국어는 부정사(否定詞)의 위치로서 범주(範疇)를 표시한다.

    ② 중국어는 청자(聽者)위주의 소통으로서의 언어적 본질을 어순에 반영하고 있지만, 한국어는 그렇지 않다.

  • *

    5) 중국어는 보어補語(complement)를 사용하여 의미를 확실하게 표현하고, 또 문장을 간결하게 만든다. 한국어의 경우는 보어를 통하여 구분하는 용법이 없고, 문장도 보어를 사용하여 간결하게 만들 수 없다.

  • *

    6) 한국어와 중국어는 모두 시간과 공간 그리고 사건 발생의 순서로 어휘를 배열한다. 이러한 공통점은 영어와 비교해보면 명확히 드러난다.

    He cut vegetables by the knife.

    He came to Beijing from Wuhan through

    Zhengzhou.

  • *

    7) 한국어와 중국어는 모두 집단(集團)위주의 관념을 어순에 반영하고 있다.

    Feb. 22, 2008

    Darcy Ponda, 1076 Carol Ln. Lafayette, CA

  • *

    8) 중국어는 의합(意合)의 방식을 사용하여 복문(復句)을 만드는 경우가 비교적 많다. 그러나 한국어는 접속사 등을 사용해 의미를 확실히 나타낸다.

  • *

    9) 중국어는 공간성이 강한 언어이지만, 한국어는 그렇지 않다. 이는 한국어와 대응하는 많은 중국어 표현이 한국어와 달리 공간성을 띠고 있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